Impact Business Review
IBR은 임팩트 비즈니스 리뷰(Impact Business Review)의 약자로,
임팩트 생태계의 지식 촉매제(Catalyst)로서 혁신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기획된
임팩트 비즈니스 전문 미디어입니다.
*IBR 시즌 1은 2011~2016년까지 임팩트스퀘어가 온·오프라인 플랫폼에 연재해온 임팩트 비즈니스 이슈와 인사이트를 다룬 지식 콘텐츠입니다. 시즌1 콘텐츠는 임팩트스퀘어 네이버 블로그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검색
![[SE 파트너십 인터뷰 Series #1] 네이버 검색광고 대학생 서포터즈: “사회적기업, 검색광고와 만나다”](https://images.squarespace-cdn.com/content/v1/61cc494289bb2f1fc3b0c2f6/1709619046920-TO5Z9IEJQSXLIY5BWZGE/%EC%BB%A8%ED%85%90%EC%B8%A0%EC%9A%A9_%EB%B0%B0%EB%84%88.png)
[SE 파트너십 인터뷰 Series #1] 네이버 검색광고 대학생 서포터즈: “사회적기업, 검색광고와 만나다”
이 글은 임팩트스퀘어가 1사1사회적기업 캠페인(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기고한 [SE 파트너십 인터뷰_네이버 검색광고 대학생 서포터즈: “사회적기업, 검색광고와 만나다”]를 옮긴 것입니다. 원문은 1사 1사회적기업 캠페인 사이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는 만큼 보이고 보는 만큼 얻는다 : 사회적 기업에서의 혁신을 주도하는 4가지 비즈니스 기회
사회적기업을 창업하고자 준비하거나, 이를 운영해나가는 사람들에게 있어 혁신을 창출하기 위한 기회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좋은 일을 더 잘 해나가기 위해, 혁신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본 아티클에서는 지금 현재 세계 각지에서, 사회적 기업에서의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4가지의 비즈니스 기회에 대해 소개한 FastCompany의 기사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 기회에 대해 다루어보고 있습니다.

기업 사회공헌 전략의 진화 : 공유가치창출과 사회적기업 파트너
공유가치창출 (Creating Shared Value, CSV) 이란 기업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일 ,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재무적인 성과 ,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기업과 사회적기업이 파트너십을 통하여 더 큰 가치를 창출한 사례들을 유형별로 소개하고자 합니다.

사회적기업가정신의 5P :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으로 가는 체크리스트
Good Business New York 의 설립자 Monika Mitchell 가 Huffington Post 에 기고한 The 5 P's of Social Entrepreneurship '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교육,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세계 10대 교육 혁신 기업
외워야 할 정답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을 이 시대의 교육이 가진 문제는 과연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까요? 그에 대한 각기 나름의 대답을 직접 세상에 펼쳐 보이고 있는 ‘가장 혁신적인 세계 10대 교육 기업(The World’s Top 10 Most Innovative Companies in Education)’을 Fast Company에서 선정하여 발표하였습니다.

새로운 경제를 만들어내고 있는 그들을 보라!: 우리가 주목해야하는 10가지 변화의 모습들
최근 Innovation for Social Change 라는 곳에서 '사람들이 경제를 변화시키고 있는 10가지 방식들 (The top 10 ways people are changing the economy)라는 제목으로 경제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경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움직임을 10가지로 선정하였습니다. 함께 살펴볼까요?

세상을 구하는 기술로 사업에 도전하라! 소외된 90%을 위한 나의 재능 사용법
국제개발영역은 이제 보다 많은 저소득층(Bottom of Pyramid, BoP)에게 효과적으로 적정기술을 전달하기 위해 전략적인 '비즈니스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적정기술에 비즈니스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성공한 사례 몇가지를 먼저 살펴보자.

사회적기업과 비즈니스모델: 도현명 대표의 미니강의 2부작 시리즈, 그 두 번째 이야기
사회적기업을 준비하고 있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를 각각 1) 소셜미션과 2) 비즈니스모델로 나누어 살펴보는 2부작 시리즈 중 두번째 포스트 입니다.

사회적기업과 소셜미션: 도현명 대표의 미니강의 2부작 시리즈, 그 첫번째 이야기
사회적기업을 준비하고 있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를 각각 1) 소셜미션과 2) 비즈니스모델로 나누어 살펴보는 2부작 시리즈 중 첫번째 포스트 입니다.

사회적기업과 기업이 만났을 때:1+1은 2가 아니다!
최근 임팩트 비즈니스 영역에서 주목하고 있는 집합적 임팩트(Collective Impact) 개념 역시 다자간의 조직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할 때 비로소 복잡한 사회적 문제를 위한 솔루션을 찾을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지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국내의 사회적기업과 일반 기업이 이러한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서로 협력한 사례를 유형별로 소개해볼까 합니다.

소셜벤처라면 엑셀 한번 밟아 봐야 하는 거 아닙니까?: 소셜벤처 육성 패러다임이 변한다!
‘액셀러레이터’란 무엇일까요? 소셜벤처 생태계에도 액셀러레이터가 있습니다. 사회적기업 아이디어나 기업가를 발굴하여 벤처 조직과 사업, 그들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임팩트를 성장시킬 수 있는 액셀러레이팅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회적기업가여, IT에 접속하라: 사회적기업이 IT를 만났을 때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사회적기업과 정보기술은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어떻게 시너지를 낼 수 있을까요? 소셜 벤처와 IT 벤처의 공통점에 대한 이야기를 넘어서, 소셜 벤처를 비롯한 임팩트 비즈니스 생태계의 플레이어들이 정보기술을 이해하고 고려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짚어보고자 합니다.

2012 세계경제포럼의 주제, ‘거대한 전환(The Great Transformation)’
칼 폴라니에서 시작해 마이클 포터, 제드 에머슨, 존 엘킹턴, 매튜 비숍, 폴 호켄, 조셉 스티글리츠의 이론을 살펴보고 이어 미국, 영국의 정부가 시도하고 있는 새로운 정책의 흐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공통된 흐름은 무엇인지, 임팩트 비즈니스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정리했습니다.

사회적기업가정신, 그 뿌리를 찾아 나서다: 스티브 잡스부터 무하마드 유누스까지
사회적기업이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균형점을 만들어내어 지속적인 효과를 내어 사회를 이전보다 더 살기 나은 곳으로 만드는 견인차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적기업가정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사회적기업가정신’에 대해 탐구했다.

청소년들에게 날개를 달아 드립니다 : 캠프파이어에서 사회적 기업으로
10대 청소년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사회적기업과 비영리 조직에는 어떤 곳들이 있을까요? 또 이들의 활동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임팩트스퀘어가 정리해보았습니다.

사회를 위해 무언가 하고 싶다고? 얼른 소셜미디어부터 배워라이~
기술을 통한 사회적 임팩트 극대화를 꿈꾸는 NetSquared의 공식적 파트너로서 블로그 글을 일부 번역해 보았습니다.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소셜미디어를 적극 이용한 경험에 관한 내용입니다.

코즈마케팅 이야기#1: 코즈로 소셜미디어에 영혼 불어넣기
비영리 조직은 소셜미디어를 왜 그리고 어떻게 활용 해야 할까요? 2005년에 만들어져 소셜미디어의 성장과 함께 눈부신 발전을 함께해온 Kiva의 CEO는 '비영리 조직의 소셜미디어 활용'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코즈마케팅(Cause Marketing) 성공전략 오계명
코즈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해서는 코즈(대의명분)과 비즈니스 상품 및 서비스를 엮고, 뻔뻔스러울 정도로 당당히 코즈에 대해 말할 수 있어야합니다. ‘당당히 말하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천해야 할 지 다섯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럭셔리버스, 가치공유를 위한 마음가짐

노동부 인증 사회적기업 지도정보
전국에 위치해 있는 노동부 인증 사회적기업의 지도정보를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