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Business Review
IBR은 임팩트 비즈니스 리뷰(Impact Business Review)의 약자로,
임팩트 생태계의 지식 촉매제(Catalyst)로서 혁신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기획된
임팩트 비즈니스 전문 미디어입니다.
*IBR 시즌 1은 2011~2016년까지 임팩트스퀘어가 온·오프라인 플랫폼에 연재해온 임팩트 비즈니스 이슈와 인사이트를 다룬 지식 콘텐츠입니다. 시즌1 콘텐츠는 임팩트스퀘어 네이버 블로그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검색

Social Entrepreneurship 섹터는 앞으로 10년 간 어떤 길을 갈까요?
2000년 이후 사회적 기업은 그 양적인 성장이나 질적인 변화도 정말 괄목할만 합니다. 이러한 성장을 앞으로 10년 동안도 계속 이어갈까요 아니면, 또 다른 길을 가게 될까요? Social Edge의 Rod Schwartz 편집자는 다음의 세 가지 큰 경향을 제안하며 토론을 시작합니다.

오바마 대통령, 사회 혁신을 위한 실험을 시작하다. “White House Council for Community Solutions”
오바마 미 대통령이 백악관 내에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직속 위원회를 설치하여 눈길을 끌었습니다. 초대 위원으로 록펠러재단 이사장, 가수 본 조비, 맥킨지 파트너, Gap 재단 이사장, eBay의 CEO 등 쟁쟁한 이들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미국에서 가장 촉망받는 사회적 기업가들 1~5
Bloomburg Businessweek에서는 200명 이상의 사회적 기업가 대상자 중 미국에서 가장 촉망받는 사회적 기업가 25명을 선정하여 소개하였습니다. 미국에서 가장 촉망받는 사회적 기업가는 누구이고 어떠한 방법으로 비즈니스를 해결하고 있을까요?

전세계의 모든 소셜벤처/사회적기업/사회혁신 공모전 리스트
해외에는 사회적 비즈니스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공모전이 많이 발달해 있습니다. 여기에 그 리스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혹시 소셜벤처로 해외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면 한번 도전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지난 10년 간 사회적 비즈니스 섹터에서 유행했던 10대 단어(Buzzword)
2000년 이후, 사회공헌, 사회적 기업, 사회적 투자, 소셜벤처, 사회 혁신 등으로 아우를 수 있는 사회적 비즈니스 섹터에서는 과연 어떤 유행어들이 사람들의 입과 글에 오르내렸을까요?

Jennifer Aaker가 제안하는 '소셜미디어 세상에서 아이디어의 날개를 펼쳐 날아오르게 하는 방법'
소셜미디어를 잘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궁극적으로 실현하고자 할 때에는 어떤 것을 준비해야 할까요? 스탠포드 GSB의 제니퍼 아커(Jennifer Aaker) 교수가 그 실마리를 풀 수 있는 해법을 설명합니다.

2010년 Top 10 공익 마케팅 캠페인(Cause Marketing Campaign)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만들어진 기업들의 공익 캠페인은 “CSR Washing(CSR 세탁)”이라며 비판을 받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기업의 마케팅 아이디어가 점점 사회와의 연결 지점을 찾아가고 있다는 점에서는 장려할만 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본 글에서는 잘 만들어진 아이디어 10가지를 뽑아봤습니다.

대학이 GRI G3 기준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행한다?
대학도 GRI를 기준으로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보고한다는 소식이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 그 대학은 바로 University of Massachusetts Dartmouth입니다. 이 대학의 MBA 학생들이 Net Impact 챕터를 통해 보고서 작성 팀을 선발하고 직접 참여하여 보고서를 발행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블로그에서 보는 2011년 소셜미디어 트렌드 이슈 6가지
2009년 말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아이폰으로 촉발된 스마트폰 혁명은 자연스럽게 소셜네트워크 혁명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서 제안하는 내년도 소셜미디어 트렌드를 살펴봤습니다.

성공하는 기업 사회공헌의 3가지 요소와 사례 (from HBR Blog)
Harvard Business Review에서 포스트한 <좋은 기업 사회공헌의 세 가지 케이스>에서 3가지 성공 요소와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이 내용을 요약했습니다.
![[Impact Talk] SVT Group 창업자 Sara Olsen 인터뷰](https://images.squarespace-cdn.com/content/v1/61cc494289bb2f1fc3b0c2f6/1699498937275-3EHN8V9V636Y0DRA3VQ3/20190530152633_1333691_300_375.jpg)
[Impact Talk] SVT Group 창업자 Sara Olsen 인터뷰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 SVT Group 창업자 사라 올슨과 임팩트스퀘어가 진행한 인터뷰 내용을 “Impact Talk” 시리즈에서 공개합니다.

소셜벤처인들의 축제, GSVC 대회를 설립한 분을 아시나요?
2010 SROI 국제 심포지움의 메인 발표를 위해 한국을 방문한 사라 올슨을 임팩트스퀘어가 인터뷰했습니다. 사라 올슨은 SROI 개발그룹의 일원이었으며, 세계적인 재단들은 물론 사회적 기업에 SROI 평가 / 분석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해왔습니다.

사회적 기업 / 소셜벤처를 지원하는 다양한 모델들 한번에 살펴보기
인큐베이팅, 네트워크 지원, 자금 지원, 마이크로펀딩, 벤처캐피탈, 공간 지원 등 다양한 사회적 기업 지원 모델들을 한번에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글이 있어 소개합니다.

Social Performance, Social Impact 그리고 Social Return on Investment(SROI)의 차이
비슷한 말들인 것 같은데 무엇이 다를까요? Social Performance, Social Impact, SROI 그리고 SRI와 Impact Investing의 차이를 각각 설명해드립니다.

사회적 기업, CSR, 지속가능경영을 주제로 해외 유학을 준비한다면 꼭 봐야할 가이드북
미국 넷임팩트(Net Impact)에서는 매년 <Business As UNusual>이라는 타이틀로, 지속가능성을 테마로 비즈니스 공부를 하고자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가이드북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Smart Nonprofit Guide] 기관의 소셜네트워크를 엮기 위해 필요한 활동들](https://images.squarespace-cdn.com/content/v1/61cc494289bb2f1fc3b0c2f6/1699425621251-Z7K058NQOOYLJ6R3EK8W/social-media-5187243_1280.png)
[Smart Nonprofit Guide] 기관의 소셜네트워크를 엮기 위해 필요한 활동들
페이스북, 트위터, 이메일, 블로그 등 많은 소셜네트워크 안에서는 부단히 구성원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엮어 내기 위한 일들이 이루어집니다. 진정한 기관의 소셜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떤 활동들을 해야 할까요?

소셜벤처/사회적기업을 알려면 꼭 따라다녀야 할 분야별 웹사이트 Top 5
사회적 기업, 소셜벤처, 소셜이노베이션 분야도 하나의 산업이 되어 안을 들여다보면 더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부문으로 분화되어 큰 생태계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는 수많은 기관들이 생산해내는 정보와 지식들은 임팩트비즈니스 섹터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비영리 기관을 누가 도울 수 있을까?
내가 가진 재능으로 비영리 단체를 돕고 싶은데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접근해야 할 지에 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하면서 흥미로운 웹서비스가 등장했습니다.

사회를 바꾸는 돌+아이들! Unreasonable Institute
Daniel Epstein, Teju Ravilochan, Tyler Hartung, and Vladimir Dubovsky. 이 네 친구가 만들어낸 새로운 방식의 소셜벤처 인큐베이팅 모델. Inc.com 기사에서 만나보세요.

영화 ‘소셜 네트워크’와 비영리 조직의 변화
영화 <소셜 네트워크>는 페이스북과 이를 만든 기업가 주커버그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영화 곳곳에는 변화하는 사회의 배경을 보여주는 요소들이 숨겨져 있습니다. 특히 비영리 섹터나 사회적 비즈니스 분야에 관심을 가진 이들이라면 꼭 찾아봐야 할 코드들이 있었습니다. 사회가 지금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는 이미 우리 모두가 보고 있는 현실 그대로 입니다. 비영리 섹터는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