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Business Review

IBR은 임팩트 비즈니스 리뷰(Impact Business Review)의 약자로,
임팩트 생태계의
지식 촉매제(Catalyst)로서 혁신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기획된
임팩트 비즈니스 전문 미디어입니다.

*IBR 시즌 1은 2011~2016년까지 임팩트스퀘어가 온·오프라인 플랫폼에 연재해온 임팩트 비즈니스 이슈와 인사이트를 다룬 지식 콘텐츠입니다. 시즌1 콘텐츠는 임팩트스퀘어 네이버 블로그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검색

사회를 바라보는 제조업 혁신 (3) - 사회문제에 대처하는 제조업의 자세와 CSV
소선 김 소선 김

사회를 바라보는 제조업 혁신 (3) - 사회문제에 대처하는 제조업의 자세와 CSV

제조업의 위기라 불리던 시기를 지나고 다시금 국가 산업은 물론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는 주역으로써 주목받고 있는 제조업이 기대받고 있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한계를 깨고 한 단계 더 도약하여야 한다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도약을 위한 가장 강력한 디딤돌은 다름 아닌 사회를 들여다볼 때 찾을 수 있으며, 이 때 공유가치창출(CSV) 전략은 효과적인 지침이 되어줄 수 있다.

Read More
기업과 사회가 공존하는 길: CSV와 CSR 논쟁을 중심으로 알아보기
소선 김 소선 김

기업과 사회가 공존하는 길: CSV와 CSR 논쟁을 중심으로 알아보기

CSV는 경영 전략의 석학이 제시한 개념인 만큼 비즈니스 섹터에서 큰 주목을 받은 한편, 개념의 엄밀함과 깊이, 내용에 대해서 적지 않은 공격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CSR을 실천, 연구해 오던 진영에서 회의적인 시각을 보냈는데 그동안은 단편적인 기사로만 다루어졌던 CSV 비판이 얼마 전 처음으로 학술 저널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에 실렸다. 이번 글에서는 공유가치의 개념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쟁점들을 토론 형식으로 소개하도록 한다.

Read More
Doing Good and Doing Well?: 재무적 성과와 사회환경적 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다!
소선 김 소선 김

Doing Good and Doing Well?: 재무적 성과와 사회환경적 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다!

기업이 사회적 가치 창출을 통해 재무적 성과를 '동시에 향상' 시킨다는 것이 현실 세계에서 얼마나 가능할까? CSV 의 사례로 언급되는 기업들이 있는 걸 보면 분명 '불가능'의 영역은 아닌 것 같지만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기업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재무적 성과와 사회환경적 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혀본다.

Read More
밀려오는 CSV(Creating Shared Value)의 물결~
소선 김 소선 김

밀려오는 CSV(Creating Shared Value)의 물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CSR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이제 조금씩 CSV에 대해서 접하게 되실텐데요. CSV는 Creating Shared Value의 약자로,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마이클포터 교수가 처음 제시한 새로운 관점의 비즈니스 전략입니다. 자세히 알아봅니다.

Read More
Social Entrepreneurship 섹터는 앞으로 10년 간 어떤 길을 갈까요?
소선 김 소선 김

Social Entrepreneurship 섹터는 앞으로 10년 간 어떤 길을 갈까요?

2000년 이후 사회적 기업은 그 양적인 성장이나 질적인 변화도 정말 괄목할만 합니다. 이러한 성장을 앞으로 10년 동안도 계속 이어갈까요 아니면, 또 다른 길을 가게 될까요? Social Edge의 Rod Schwartz 편집자는 다음의 세 가지 큰 경향을 제안하며 토론을 시작합니다.

Read More
2010년 Top 10 공익 마케팅 캠페인(Cause Marketing Campaign)
소선 김 소선 김

2010년 Top 10 공익 마케팅 캠페인(Cause Marketing Campaign)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만들어진 기업들의 공익 캠페인은 “CSR Washing(CSR 세탁)”이라며 비판을 받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기업의 마케팅 아이디어가 점점 사회와의 연결 지점을 찾아가고 있다는 점에서는 장려할만 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본 글에서는 잘 만들어진 아이디어 10가지를 뽑아봤습니다.

Read More
대학이 GRI G3 기준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행한다?
소선 김 소선 김

대학이 GRI G3 기준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행한다?

대학도 GRI를 기준으로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보고한다는 소식이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 그 대학은 바로 University of Massachusetts Dartmouth입니다. 이 대학의 MBA 학생들이 Net Impact 챕터를 통해 보고서 작성 팀을 선발하고 직접 참여하여 보고서를 발행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