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Business Review
IBR은 임팩트 비즈니스 리뷰(Impact Business Review)의 약자로,
임팩트 생태계의 지식 촉매제(Catalyst)로서 혁신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기획된
임팩트 비즈니스 전문 미디어입니다.
*IBR을 가장 빠르게, 편리하게 받아보실 수 있는 방법! ISQ의 인사이트 레터 ‘Impact Bell Tower(IBT)’를 구독해보세요.
키워드 검색
사회서비스 혁신 사례? 이 네 가지 유형 먼저 확인하라!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이 있다. 특히 임팩트 비즈니스 영역은 목적 지향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때로 어떠한 개념들은 너무나 추상적으로, 그렇기에 멀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럴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좋은 예시를 최대한 많이 보는 것이고, 나아가 그런 예시들을 엮어낼 수 있는 핵심 카테고리 혹은 기준이 있다면 무엇일지 생각해보는 것이다. 이번 아티클은 사회서비스 솔루션이 창출되는 대표적인 4가지 유형을 임팩트스퀘어만의 관점으로 정리해보고, 나아가 간단한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사회서비스의 핵심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서비스 스타트업은 투자를 받을 수 있을까?_Part 2. 결정적 모멘텀이 다가오고 있다.
약 145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대표적인 취약계층으로 구분되는 노인과 장애인을 위해 투자를 집행한 기관, 바로 보건복지부다. 보건복지부는 디지털·첨단기술을 활용한 사회서비스 혁신 기업에 투자하고자 ‘사회서비스 투자 펀드’를 조성하였으며, 투자로부터 회수되는 재원을 다시 사회서비스 관련 분야에 재투자해 투자-성장-재투자의 선순환 고리를 구축할 목표를 가지고 있다.
사회서비스 스타트업은 투자를 받을 수 있을까?_Part 1.사회서비스에 대한 흔한 오해
2023년 9월, 145억 원 규모의 사회서비스 분야 모태펀드가 결성됐다. 사회서비스 분야 최초의 펀드라는 점에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공존한다. 문득, 왜 ‘최초’일까?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그동안 환경, 문화, 교육 등 공공성이 있는 분야에서 모태펀드 투자가 이루어져 왔음에도, 왜 사회서비스는 그 대상에서 배제되어 왔을까? 그리고 그렇다면, 왜 이제는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보게된 것일까? 임팩트스퀘어는 2개의 시리즈 아티클을 통해 사회서비스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가능성과 그 배경, 근거를 톺아보고, 과연 더욱 많은 사회서비스 솔루션이 투자를 통해 성장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