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Business Review
IBR은 임팩트 비즈니스 리뷰(Impact Business Review)의 약자로,
임팩트 생태계의 지식 촉매제(Catalyst)로서 혁신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기획된
임팩트 비즈니스 전문 미디어입니다.
*IBR 시즌 1은 2011~2016년까지 임팩트스퀘어가 온·오프라인 플랫폼에 연재해온 임팩트 비즈니스 이슈와 인사이트를 다룬 지식 콘텐츠입니다. 시즌1 콘텐츠는 임팩트스퀘어 네이버 블로그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검색

게임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세상을 바꾸는 아이디어를 얻는다: 세상을 바꾸는 게임
세계은행에 의하면 1차 산업에 의존하는 국가일수록 기후변화에 취약하며, 동남아시아 지역은 특히 가뭄이나 홍수, 태풍과 같은 자연 재해에 취약하여 사회・경제적인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이런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재난위기관리(Disaster Risk Management) 교육 방식’에 주목해보았습니다.
![[Poor Economics Series #5] 가난한 아이들이 학교에 가지않는 이유에 대하여 : 보편적 초등교육(Primary Education for All)을 위한 방법론 살펴보기](https://images.squarespace-cdn.com/content/v1/61cc494289bb2f1fc3b0c2f6/1710134365313-W5S9XDPNP78QAM4N1F8T/main_blog.jpg)
[Poor Economics Series #5] 가난한 아이들이 학교에 가지않는 이유에 대하여 : 보편적 초등교육(Primary Education for All)을 위한 방법론 살펴보기
지금은 누구나 교육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하려고 하는데, 왜 우리 어르신이 살았던 세대에는 아이들을 초등학교도 제대로 보내지 않았을까? 왜 지금 방글라데시, 네팔, 아프리카 지역의 국가들의 아이들은 초등학교를 제대로 다니지 못하는 것일까? 우리 어르신들이 ‘그때 학교만 더 다녔으면 지금 내가 이런 일들을 할 수 있을텐데’라는 아쉬움의 표현을 개발도상국가의 아이들도 미래에 비슷하게 할까? 라는 생각이 든다면, 이들에게 초등학교라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지금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교육 문제를 바라보는 기업의 새로운 시각 : FSG, The new role of business in global education
“글로벌 교육 분야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비즈니스의 역할(원제: The new role of business in global education)” 보고서의 내용을 리뷰하며 독자들에게 교육을 통한 공유가치창출 사례와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모두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는, 세상에서 가장 큰 학교: 참된 교육 혁신가, 칸 아카데미의 살만 칸
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학생들이 정말로 모르는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완벽히 습득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어야 하지 않을까? 또 획일화된 진도를 억지로 따라가기보다는 개인의 고유한 능력과 이해도에 따라 학생들이 자유롭게 공부하는 게 바람직한 것이 아닐까? 저마다의 불만을 품고 있을 이 질문들을 해결코자 팔을 걷어붙인 진짜 공부의 신이 여기 있다. 칸 아카데미(Khan Academy)의 살만 칸(Salman Khan)의 이야기를 살펴본다.